갑자기 왠 ISA 계좌?? 하실 텐데요. 오늘(2021/7/26)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21년 세법개정안에 ISA를 이용해서 절세할 수 있는 내용이 들어가 있어요. 주식 투자를 하고 있다면, 2023년부터는 주식을 매도해서 얻은 양도소득에 대해서도 과세를 한다고 하니 절세수단으로 ISA에 관심을 갖아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.
Q1. ISA 계좌가 뭐예요?
A1. Individual Savins Account의 약자이고요.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뜻해요. 예금, 펀드, ETF, 주식 거래까지 가능한 종합 계좌입니다.
Q2. ISA 계좌 어디에서 만들죠?
A2. 은행에서도 만들 수 있고, 증권사에서도 만들 수 있어요. 주식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얘기를 하고 있으니, 주식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증권사에 가서(혹은 비대면으로) 중개형으로 만들면 돼요. 제가 예전에 만들 땐 중개형이 없었는데, 2021년 이후에 생겼다고 하네요. 참고로, ISA 는 신탁형, 일임형, 중개형이 있어요.
Q3. ISA 계좌에는 주식양도소득세가 붙지 않는다고요?
A3. 네. 2023년 이후에는 일반 주식계좌에서 주식양도 수익이 5,000만 원을 넘으면 20%의 세금을 내야 해요. 1억을 벌었다면, 5,000만 원까지는 비과세가 되고, 나머지 5,000만 원에 20%의 세율을 적용해 1,000만 원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. (참고로, 양도소득이 3억을 초과하면, 세율이 20%에서 25%로 뛰어요. ) 하지만!! ISA 계좌에서 거래를 했다면, 양도소득세는 없습니다.
Q4. ISA 계좌에 금액 제한 없이 불입할 수 있나요?
A4. 아니요. 연 2,000만 원까지, 총 1억까지만 납입할 수 있어요. 소소하게 투자하는 개미 투자자들은 이 정도 금액도 나쁘진 않은 거 같아요.
Q5. ISA 계좌 만들고, 바로 주식 거래하고 수익 나면 계좌에서 빼도 되나요?
A5. 아니요. 3년의 의무가입기간이 있어요. 계좌 안에서 주식을 사고파는 건 괜찮지만, 돈을 빼오는 건 계좌를 만든 지 3년이 지난 후에 하세요. ISA 계좌가 없으시다면, 일단 하나 만드시고, 2년쯤 지난 후, 1년 정도 운용할 돈이라면 그때 이 계좌에서 운용을 하시면 돼요. 일단 쓰던 안 쓰던 하나 만들어 두는 게 좋겠어요. 3년이 되는 시점에 요긴하게 씌일 수도 있으니까요.
사실 최대 불입 한도 1억까지 넣어도, 수익을 5,000만 원 넘기려면, 수익률 50%를 넘겨야 하는데... IRS 계좌를 요긴하게 써먹기 위해 주식 투자 능력을 한컷 올려야겠네요. 슈퍼개미를 꿈꾸며....
Q6. 그럼 아이들 꺼도 만들어 둘까요?
A6. 아니요. 아이들 꺼는 만들 수가 없어요. 만 19세 이상이어야 만들 수 있고요. 만 15세 이상 19세 미만이라면, 직전 과세기간에 근로소득이 있어야 만들 수 있어요.
[기획재정부 2021년 세법개정안]
기획재정부
2021년 세법개정안 발표
www.moef.go.kr
* 본 게시물은 세무, 법률 관련 참고자료로만 사용될 수 있으며,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.
* 혹시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.
'세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인이 아니어도 미국에 세금신고? 미국 세법상 거주자 (0) | 2021.08.02 |
---|---|
특수관계인으로부터 자금 차입: 부모님께 돈 빌릴 때 어떻게? (0) | 2021.07.25 |